이건 정류장의 범위가 맞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자, 이번에는 두가지 예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석탄 광산 주위에는 총 6개의 버스 정류장이 있습니다. 여기서 석탄을 운송할 수 있는 화물 정류장은 어디일까요?
2. 이번에는 발전소입니다. 1~3번까지의 총 3개의 기차역이 있습니다. 과연 여기서 석탄을 받을 수 있는 기차역은 어디일까요?
자신이 생각한 답과 맞습니까? 맞다면 당신은 상당한 실력자일 수도 있습니다만, 이 스샷은 너무나도 쉽게 구분을 할 수가 있는 거라 실력자라고 판단하기는 좀 그렇네요.
이 설명을 듣고서 눈치가 빠른 분들께서는 역을 세웠는데, 자원이 왜 안 들어왔는지 알겠다라는 분이 계시겠죠. 어? 근데, 나는 저렇게 영역표시되는게 없었는데라는 생각을 가지는 분이 계실껍니다. 이건 아래 기능을 활성화 시켜주시면 됩니다.
이 기능은 화물 정류장 뿐만 아니라 승객 정류장, 기차역, 공항, 항구들도 모두 적용이 되는 기능입니다. 이러한 간단한 기능을 잘 활용을 하면 당신도 고수가 될 수가 있습니다.
한가지 간단한 팁을 드리자면 화물, 승객 정류장, 기차역, 공항, 항구 중에서 가장 범위가 넓은것은 공항입니다. 공항 + 기차역 등 공항의 넓은 범위를 활용을 한다면 많은 승객이나 우편, 화물등을 수송할 수 있게됩니다.
'Open TT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TD] 스피드한(??) 플레이를 위한 한가지 팁.. (6) | 2007.11.20 |
---|---|
[TTD][항공업 시리즈] 1. 항공업에관한 이야기와 공항짓는법 (3) | 2007.11.06 |
[TTD] 정거장의 범위는 과연 어디까지일까? (2) | 2007.11.04 |
[TTD] 선박 운용하기 (6) | 2007.11.04 |
[TTD] Open TTD 설치하기 (0) | 2007.10.13 |
[TTD] 지형 편집하기 (0) | 2007.10.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저 기능을 잘 활용해서 두개 이상의 산업시설에서 생산물을 받는 것도 가능;;
참고로 저거 실수 자주 한다죠...(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