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현실에서도 이런 방식대로 구현이 되어 있으며, 교통량에 따라 복선과 단선이 적절하게 배분이 되어 있고, 수도권 철도망중 일부 구간은 3복선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 구간이 있습니다.
이것을 트타에 적용을 한다면 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1. 단선
단선으로는 열차가 한대만 운행이 가능합니다.
신호등을 설치를 해도 더 많은 열차를 운행을 할 수가 없게됩니다.
실제도 마찬가지라죠. 일방 통행으로 해 주지 않는 이상 두대 이상을 운행을 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대피선로를 구현을 해 주는 것입니다.
다만 이 방식을 구현할때 주의할 점은 대피선로의 길이가 열차의 길이보다는 길어야 합니다.
짧을 경우 주 선로에 통행하는 열차에 피해를 줘서 운행이 아예 안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혹은 역을 이용해서 열차를 대피를 시켜주는 방안도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할 수 있는 열차의 댓수는 대피선로의 갯수 + 1 정도만 됩니다.
그 이상의 경우 운행이 불가합니다.
2. 복선
대부분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선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복선 이상의 선로부터는 열차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이 거의 무한정입니다.
(그 한계는 있긴 하나 길이 및 분기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신호등을 활용하여 선로별로 일방통행이 되게 해 주면 됩니다.
3. 복복선(2복선)
01
복선만으로도 열차가 수용하기 힘들 정도일때 주로 사용을 하게되며, 보통 한 복선은 일반 열차 운행용, 다른 복선은 고속 운송용으로 구분을 지어서 사용을 하시면 될 듯 합니다.
4. 3복선

다만 추후 교차로 건설 및 선로간 열차 이동 등에서 많은 문제가 있어서 추천은 하지 않습니다.
정말 필요하다면 지어야 겠죠.
이상 여러 선로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트타 플레이를 할때 돈이 없다고 해서 처음부터 무조건 단선 선로만 짓기 보다는 복선 선로를 잘 지어서 잘 확장 시켜주면 열차를 무진장 추가를 할 수가 있습니다.
'Open TT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TD] 환승 시스템을 만들어 보자.. (2) | 2008.01.26 |
---|---|
[TTD] 차량 자동 교체 기능 (3) | 2008.01.17 |
[TTD] 철도 선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 2008.01.09 |
[TTD] 음악 및 효과음을 끄자 (0) | 2007.12.26 |
[TTD] 오픈트타 숨겨진 기능들.. (0) | 2007.12.18 |
[TTD][항공업 시리즈] 2. 0.6.0 버전의 속도향상 (8) | 2007.12.1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3복선나발은 분기점빼고는 그렇게 추천은 못하는-_-
ps. 단선에서 교행선로를 깔 때 하나만 더 깔아주는 경우가 많은데, 되도록이면 3개이상 깔아주는 것을 추천합니다(방향별 2선).
3복선은 굉장히 복잡하지...
무지하게... 그리 추천하는 방식도 아니고;;;;;
좀더 파보면 단선병렬(단선X2), 3선방식(상1 하1 가변철로1, 상1 하2, 상2 하1) 등도 있지만 둘다 추천할 게 아니라는...
(단선병렬은 잘못쓰면 정체유발이고...)
(3선방식도 마찬가지임, 단 가변철로를 쓰지 않으면 어느정도 추천할수있음)